납(Pb)에 대해서

Pb중독에 관한 기술은 로마시대부터 이미 존재해 왔으며 오래전부터 알려진 중독이라고 할 수 있다.

오래된 Pb의 수도관에서 수도수중으로의 침출 위험성이 지적되어 1992년 이후 순차적으로 수도관에 사용되던 Pb관의 교체가 진행되고 있는 점, 가솔린의 무연화가 진행됨에 따라 환경중으로부터의 도입은 감소하고 있다.

성인에서는 기본적으로 음식에서 섭취된 Pb의 90% 이상은 그대로 똥 속으로 배설되지만 나머지는 소화관에서 흡수된다.

소아에서는 경구 섭취한 Pb의 약 40~50%가 흡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성인보다 Pb에 대한 감수성이 높고 Pb 중독도 나타나기 쉽다.

게다가 태아에서도 마찬가지로 Pb 흡수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흡에 의해 섭취된 Pb는 약 15~45%가 흡수되고 8%가 기관 내에 침착된다.

소화관에서 흡수된 Pb는 혈류를 통해 온몸을 돈 뒤 기본적으로 분뇨 중 배설되지만 일부가 체내에 축적된다.

특히 뼈 축적이 많아 사람의 체내 총 Pb량의 90% 이상이 뼈에 축적돼 있다.

그 밖에 뇌, 심장, 간, 신장, 폐, 비장, 정소 등에도 축적한다.

 

직렬과 병렬에 대해서

저항 등을 직렬로 접속했을 경우와 병렬로 접속했을 경우의 동작을 생각해 봅니다.

하드적으로는 R_ps 일반적인 예로 100W와 60W의 전구를 전원 100V에 연결했을 경우를 생각해 봅니다.

일단 병렬입니다.

이것은 일반적인 사용법으로, 모두 같은 100V가 걸리기 때문에 100W에는 1A, 60W에는 0.6A의 전류가 흐릅니다.

저항값을 계산하면

100W에서는 R=V÷A=100V÷1A=100Ω,

60W에서는 100V÷0.6A=167Ω입니다.

그럼 이 두 전구를 이번에는 직렬로 연결해 볼까요?

어느 쪽이 밝을까요?

보통 생각하면 100W가 더 밝은 것이기 때문에 100W인 것 같네요.

실제로 계산해 봅시다.

일단 직렬이기 때문에 전류는 같은 값이 흐르기 때문에 저항값을 계산하면

100Ω + 167Ω = 267Ω로 100V를 곱하면 전류는 I = V÷R이므로

I=100V÷267Ω= 0.375A입니다.

다음으로 전구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계산합니다.

100W 쪽은 100Ω x 0.375A ≒ 38V 

60W 쪽은 167Ω x 0.375A ≒ 62V입니다.

전력을 계산하면

100W 쪽이 38V x 0.375A = 14W,

60W 쪽이 62V x 0.375A=23W

라고 결과는 60W 쪽이 밝아집니다.

이는 60W 쪽이 저항값이 크고 직렬접속에서는 같은 전류가 흐를 경우에 전압강하(양단의 전압)는 저항값이 큰 쪽이 높아지므로 결과 전력소비는 60W가 커졌기 때문이었습니다.

소프트적으로는

높은 전압을 분압하여 마이크로 컴퓨터로 측정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예를 들어 48V 전원의 전압 감시에서 2.5V 정도로 떨어뜨리고 싶은 경우로 계산해 봅니다.

48V 측에 10KΩ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48V-2.5V=45.5V 걸리므로 전류는 4.55mA 아래쪽의 2.5V측에는 2.5V÷4.55mA=0.55kΩ ≒ 560Ω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전력을 구하면 45.5V x 4.55mA=207mW, 2.5V x 4.55mA=11mW가 되며 48V측의 저항은 1/4W로는 상당히 빠듯하므로 1/2W형을 사용하거나 1/8W의 정밀저항으로 2개 병렬로 한 것(총 5kΩ)을 2개 직렬로 하여 10kΩ로 사용하면 1/2W 상당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저항의 종류가 적게 생기고 정밀저항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https://www.smartinst.co.kr/

붕어양식 수소이온농도에 대해서

수소 이온 농도(pH) 서식에 적합한 pH 범위

수생생물에게 안전한 pH로 여겨지는 것은 6.8~8.5이며, 이 범위를 넘으면 영양은 식물에 섭취되기 어려워져 먹이 생물의 생산성은 저하되고 나아가 수역 전체의 생산도 저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pH 이상으로 인한 붕어의 폐사 재현 실험

산성(pH2) 옆으로 굴림~아가미에서 출혈~사망(30분 후)

알칼리성(pH12) 체표에서 점액~횡전~아가미에서 출혈~사망(2시간 후)

식물의 광합성을 통한 pH 상승에 대해

호수는 특히 여름철 성층기에는 표층은 식물 플랑크톤 광합성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소비되기 때문에 알칼리 쪽으로 기울고, 저층은 플랑크톤 유해 분해에 따라 이산화탄소나 유기산이 생성되기 때문에 산성 쪽으로 기울어진다.

하천에서도 수심이 얕아 (햇빛이 하상까지 닿는) 물이 정체되는 곳에서는 하상 부착 조류의 광합성을 위해 pH값이 높아지고 동시에 용존 산소도 높아질 수 있다.

광합성은 조류가 엽록소와 햇빛의 에너지 아래 물속의 이산화탄소(CO2)와 물을 사용해 전분과 산소(O2)로 바꾸는 작용이다.

물속의 CO2는 소량이므로 조류는 탄산수소이온(HCO3-)을 카르보닉안토히드라제의 촉매작용에 의해 H2CO3로 하고 탈수반응으로 CO2로 이용한다.

그 결과 정체 수역이라면 물속의 HCO3-는 감소하고 O2가 계속 증가하게 된다.

수중의 탄산가스는 다음 식의 화학 평형에 있어 수질의 pH값을 좌우한다.

​CO2+H2O⇔H2CO3⇔HCO3+H+⇔CO32-+2H+

광합성에 의해 HCO3-가 감소하면 주간 pH값은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야간에는 조류 호흡작용으로 인해 반대로 물속의 O2를 소비해 CO2를 방출하고 HCO3-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pH 값은 낮아지고 용존산소(DO)도 감소하게 된다.

 

 

GHP 에어컨이란 G(Gassengine driven) H(Heat) P(Pump)과  EHP 에어컨 E(Electric) H(Heat) P(Pump) 에 대해서

GHP와 EHP의 차이점은?

GHP 에어컨이란 G(Gassengine driven) H(Heat) P(Pump) 에어컨의 약자로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고효율 가스 엔진으로 컴프레서(압축기)를 구동시켜 냉난방을 하는 기기입니다.

한편, EHP 에어컨은 E(Electric) H(Heat) P(Pump) 에어컨의 약자로 전기모터로 컴프레서를 구동시키는 기기입니다.

냉난방의 구조로는 히트 펌프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실시합니다.

냉매에는 R401 등의 냉매를 이용해 열을 퍼 올리는 구조는 동일합니다.

난방 시에 관해서는 GHP는 엔진의 배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가스 엔진으로 컴프레서와 함께 발전기를 구동시켜 발전을 실시하는 기기에 대해서도 발매되고 있습니다.

가스 히트 펌프 에어컨(GHP)은 원래 여름철 전력 수요가 많은 전력 피크 컷을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냉난방 중에는 거의 전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형 큐피클(변전설비) 등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GHP에는 가스 엔진으로 구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오일 교환 등의 정기적인 유지 보수가 필요합니다.

https://www.smartinst.co.kr/

+ Recent posts